목록Front-End/CSS (2)
함번보고 두번보고
1. display HTML 포스팅에서 소개하였듯이 HTML 태그는 Block Level과 Inline Level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css의 display 속성값을 이용하면 기본 속성값을 변경할 수 있다! display 속성값은 일단 flexbox를 제외하고 block, Inline, Inline-block 각각의 차이점을 아래 코드블럭을 통해 살펴보자.. See the Pen GRNzxdd by Hamsworth (@hampro) on CodePen. display 정리! value description block 한줄에 하나! Inline 공간이 허용한다면 한줄에 여러개 가능. *lnline은 content 자체만 꾸밈. 즉, content크기에 따라 크기가 결정. (= css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GPiS/btqZ1aBPCu4/56TnhmXDXtshCtrw8hESB0/img.png)
1. CSS CSS란 Cascading Style Sheet의 약자로, 우리는 Cascading이 뭔지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Cascading 이란, 폭포, 연쇄라는 뜻으로 그 이유는 웹페이지 화면이 로드될 때, 실제 화면이 꾸며지는 순서는 아래 그림처럼 우리가 정의한 CSS가 있다면, Author style이 적용되고, 없으면 다크모드 설정과 같은 유저가 설정한 User style이 그리고 이도 없다면 Browser에서 정의한 기본스타일이 적용이 되기 때문이다. 2. Selector CSS에서 Selector란, HTML에서 우리가 꾸미고자 하는 요소를 골라오는 것 즉,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무엇가를 꾸민다는 것은 잘 분류하고 공통적인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통일적인 느낌을 주는게 중요하기 때문에..